인터넷 (Internet)
네트워크 (network):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장치를 연결
인터넷 (internet): 서로 통신할 수 있는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
TCP/IP 를 사용하는 네트워크
1960년 중반 ACM에서 ARPANET 아이디어 발표
각 컴퓨터를 IMP (Interface Message Processor)라는 컴퓨터에 연결
1972년 빈트 서프와 봅 칸에 의해 Internetting Project 수행
TCP/IP 프로토콜 개발
TCP, 전송 제어 프로토콜 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 : 단편화, 재 조립, 오류 탐지의 상위 수준 기능 담당
IP, 인터네트워킹 프로토콜 (Internetworking Protocol) : 데이터그램의 경로를 다룸
ISP 계층 구조
1. 국가 서비스 제공자 (National Service Provider, NSP)
인터넷의 중추 네트워크를 운영
예: SprintLink, PSINet, UUNet Technologies, AGIS, internetMCI
- 최대 600Mbps의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
- 전국적인 네트워크 인프라 보유
- 다른 NSP들과 상호 연결
2. 지구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(Regional ISP)
NSP에 연결된 중간 규모의 ISP
- NSP보다 낮은 전송 속도
- 특정 지역이나 국가 단위로 서비스 제공
- 하나 이상의 NSP와 연결
3. 지역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(Local ISP)
최종 사용자에게 직접 서비스 제공
- 지역 ISP에 연결되거나 직접 NSP에 연결
- 개인 및 소규모 기업 고객 대상 서비스
- 인터넷 접속, 웹 호스팅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
추가 구성 요소
NAP (Network Access Point): 다양한 ISP들이 트래픽을 교환하는 주요 연결 지점
IAP (Internet Access Provider): ISP의 다른 명칭, 주로 인터넷 접속 서비스에 중점
이 구조에서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Local ISP에서 Regional ISP를 거쳐 NSP로 전달되며, 필요에 따라 NAP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로 전송된다. 각 계층은 상위 계층에 비용을 지불하고 서비스를 받는 구조로 운영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