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항해99
- 오블완
- 우분투db
- tcp 프로토콜
- 비주기신호
- 주기신호
- 서비스 프리미티브
- git merge
- well known 포트
- 토큰 버스
- leetcode
- 스레드
- 오류검출
- tcp 세그먼트
- 프레임 구조
- mariadb
- 그리디 알고리즘
- i-type
- xv6
- 개발자취업
- 순서번호
- 오류제어
- 티스토리챌린지
- til
- 데이터 전송
- reducible
- 코딩테스트준비
- 플로이드워셜
- 99클럽
- IEEE 802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데이터베이스 (1)
Unfazed❗️🎯

우선 테스트를 위해 우분투 local에서 db1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해 주었다. testuser4로 원격 접속을 한 뒤, show databases; 명령의 결과를 보면 root 계정에서 보이는 5개의 databases가 아닌 1개의 db만 조회할 수 있다. 위와 같이 GRANT ALL PRIVILEGES ON d1.* TO 'testuser4'@'%' IDENTIFIED BY 'PASSWORD'; 의 명령어로 'testuser4'에게 데이터베이스 db1에 속한 모든 테이블(db1.*)에 대한 권한을 부여해 줄 수 있다. (password는 해당 계정의 비밀번호) 권한 부여 이후 flush privileges; 명령을 통해 정보를 갱신해 준다. 다시 외부 터미널로 돌아와 testuser4 계정에서 'sh..
Database (데이터베이스)
2024. 2. 5. 21:10